한국에서 구독 가능한 OTT 총정리 – 가격, 특징, 콘텐츠 비교표까지
한국에서 구독 가능한 OTT 총정리 – 가격, 특징, 콘텐츠 비교표까지
OTT 서비스는 너무 많고, 매달 내는 구독료도 만만치 않습니다. 어떤 OTT를 골라야 할지 고민되시죠? 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한국에서 이용 가능한 대표 OTT 서비스를 가격, 특징, 콘텐츠 장르별로 상세 비교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1. OTT 서비스 구독 전 고려해야 할 3가지
- 콘텐츠 취향: 예능/드라마/영화/애니메이션 중 선호 장르 파악
- 동시 접속 필요 여부: 가족 구성원과의 계정 공유 계획
- 번들/제휴 여부: 통신사, 카드사 할인 여부 확인
2. 국내 OTT 서비스 비교표 (2025년 기준)
서비스명 | 월 구독료 | 동시접속 | 특징 | 대표 콘텐츠 |
---|---|---|---|---|
넷플릭스 | 7,000원 ~ 17,000원 | 1~4명 (요금제별 상이) |
오리지널 콘텐츠 강자, 글로벌 인지도 | 더 글로리, 오징어 게임, 킹덤 |
디즈니+ | 9,900원 ~ 13,900원 | 2~4명 (요금제별 상이) |
디즈니·마블·픽사·스타워즈 독점 | 로키, 겨울왕국 시리즈, 스타워즈, 강풀 시리즈 |
티빙 (TVING) | 5,500원 ~ 17,000원 | 2~4명 (요금제별 상이) |
CJ ENM 예능/드라마 중심 | 환승연애, 응답하라 시리즈 |
웨이브 (Wavve) | 7,900원 ~ 13,900원 | 1~4명 (요금제별 상이) |
지상파 3사 연합, 실시간 방송 제공 | 1박2일, KBS/MBC/SBS 드라마 |
왓챠 | 7,900원 ~ 12,900원 | 1~4명 (요금제별 상이) |
영화 큐레이션 특화, 인디 콘텐츠 다양 | 인디 영화, 다큐멘터리 |
쿠팡플레이 | 7,890원 ~ 9,900원 (쿠팡 와우 포함) | 2명 (요금제별 상이) |
쇼핑 번들, 스포츠 중계 강점 | 프리미어리그, SNL 코리아 |
👇 OTT별 특징 자세히 알기
✅ 넷플릭스 (NETFLIX)
글로벌 OTT 시장의 선두주자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 ‘킹덤’ 등 한국 콘텐츠의 세계적 흥행을 이끌며 글로벌 영향력이 큽니다. 다양한 장르와 국가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알고리즘 기반 추천 시스템도 정교한 편입니다. 최근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이 강화되어 ‘동일 가구 인증’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 디즈니+ (Disney+)
디즈니, 마블, 픽사, 스타워즈,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브랜드 콘텐츠를 독점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특히 어린이 콘텐츠와 슈퍼히어로 시리즈에 강하며, ‘로키’, ‘완다비전’ 등 마블 팬층의 충성도가 높습니다. 고화질 영상 지원, 최대 4명까지 동시 접속이 가능해 가족 단위 이용자에게 적합합니다. 2024년 이후 한국 오리지널 제작에도 본격 투자하고 있습니다. 강풀작가의 '무빙', '조명가게' 등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 웨이브 (Wavve)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가 연합해 만든 OTT로, 지상파 드라마·예능 실시간 방송과 다시보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뉴스, 시사, 예능 등 TV 기반 콘텐츠를 선호하는 중장년층과 가족 단위에 특히 적합합니다. 오리지널 콘텐츠는 아직 제한적이지만, 공중파와의 연동성은 경쟁력이 있습니다. 통신사 제휴 요금제와 번들 상품이 다양합니다.
✅ 티빙 (TVING)
CJ ENM이 중심이 되어 만든 OTT 서비스로, ‘환승연애’, ‘술꾼도시여자들’, ‘유 퀴즈 온 더 블럭’ 등 CJ 계열 예능·드라마 콘텐츠가 풍부합니다. tvN, OCN, Mnet 등 다양한 채널의 프로그램을 한 번에 즐길 수 있어 젊은 세대의 이용 비중이 높습니다. 오리지널 콘텐츠 강화에도 적극적이며, 티빙 단독 시리즈도 점차 늘고 있습니다. 실시간 방송과 VOD 모두 지원합니다.
✅ 쿠팡플레이 (Coupang Play)
쿠팡 와우 멤버십에 포함된 OTT로, 추가 요금 없이 이용 가능한 ‘쇼핑 번들형 OTT’입니다. 자체 콘텐츠보다는 스포츠 중계(프리미어리그, UFC 등), 예능(SNL코리아), 키즈 콘텐츠에 집중하는 편입니다. UI/UX는 비교적 단순하며, 가족 계정 공유가 되지 않는 1인 이용 기반입니다. 쇼핑을 자주 한다면 가성비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줄 수 있습니다.
✅ 왓챠 (Watcha)
‘취향 기반 영화 추천 플랫폼’으로 시작해, 독립·예술 영화, 다큐멘터리 등 마니아층에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유저의 별점과 평가를 바탕으로 한 추천 시스템이 뛰어나며, OTT 중에서는 큐레이션 정교함이 가장 높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최근 재정 이슈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이 축소되었지만, 탄탄한 영화 라이브러리로 충성 고객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본 등 해외 시장에도 진출한 경험이 있습니다.
3. 취향/상황별 추천 OTT 조합
- 가족끼리 이용: 티빙 + 웨이브 조합 추천 (예능/지상파 커버)
- 영화/드라마 마니아: 넷플릭스 + 왓챠 (오리지널 + 인디 큐레이션)
- 아이 있는 집: 디즈니+ 단독 or 넷플릭스 키즈 모드
- 쇼핑 자주하는 사람: 쿠팡플레이 활용 (와우 혜택 포함)
4. OTT도 가성비 따져야 하는 이유
OTT 1개만 구독해도 월 1만 원 내외, 3~4개를 동시에 쓰면 한 달에 3~4만 원을 지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취향 분석 → 조합 → 단기 구독 전략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