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쌓기

키덜트는 왜 MZ세대를 사로잡았는가? 감성 소비, 정체성, 그리고 '나만의 취향

Helena UP 2025. 7. 10. 13:27

키덜트는 왜 MZ세대를 사로잡았는가? 감성 소비, 정체성, 그리고 '나만의 취향'

키덜트는 왜 MZ세대를 사로잡았는가? 감성 소비, 정체성, 그리고 '나만의 취향
키덜트는 왜 MZ세대를 사로잡았는가? 감성 소비, 정체성, 그리고 '나만의 취향

 

귀여운 인형과 피규어, 장난감이 이제 어른들의 전유물이 된 시대. 라부부(LABUBU)를 비롯한 키덜트 상품이 MZ세대의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동심 회귀’가 아닙니다. 이 열풍은 정체성과 감성 소비를 동시에 충족하는, 매우 전략적인 소비 패턴입니다. 길을 걷다보면 귀여운 인형을 단 가방을 메고 있는 어른들을 보는게 어렵지 않은데요. 

이번 글에서는 키덜트 문화가 왜 M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었는지,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사회적 배경과 심리를 자세히 들여다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라부부 인형의 고가 거래 현상, 왜 우리는 이토록 '라부부'에 열광할까?

👉 라부부부터 퍼글러, 몬치치, 크라이베이비, 헬로우 키티까지 — 요즘 MZ세대가 사랑하는 키덜트 캐릭터들

 

 

 

Pop Mart Labubu The Monsters Highlight Series Loyalty Keyring (Opened Case)

팝마트 라부부 더 몬스터즈 하이라이트 시리즈 충성 키링 (개봉 박스) Pop Mart Labubu The Monsters Highlight Series Loyalty Keyring (Opened Case) 상품을 거래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정품의 실시간 시세를 확인하

kream.co.kr

 

 

 

 

키덜트란? 단순한 유행을 넘어 하나의 문화

키덜트(Kidult)는 어린이(Kid)와 어른(Adult)의 합성어입니다. 장난감, 피규어,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전통적으로 아동용으로 여겨졌던 콘텐츠와 제품을 성인이 즐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문화는 단순한 취미 수준을 넘어, 감성적 위로, 사회적 상징, 투자 자산의 성격까지 띠며 점점 더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  "10배 더 비싸도 살래요"…명품도 아닌데 못사서 '난리' [대세로 뜨는 '덕질 소비']

 

"10배 더 비싸도 살래요"…명품도 아닌데 못사서 '난리' [대세로 뜨는 '덕질 소비']

"10배 더 비싸도 살래요"…명품도 아닌데 못사서 '난리' [대세로 뜨는 '덕질 소비'], [대세로 뜨는 '덕질 소비'] 1회 편의점 도시락·저가커피 먹어도…캐릭터엔 지갑 여는 이유 산리오부터 라부부

www.hankyung.com

 

 

 

왜 하필 MZ세대가 키덜트에 열광하는가?

왜 하필 MZ세대가 키덜트에 열광하는가?
류준열 - 스펀지밥

 

MZ세대(1981~2010년생)의 소비 성향은 이전 세대와는 명확히 구분됩니다. 이들은 가격보다는 경험, 기능보다는 감정에 가치를 둡니다. 키덜트 상품은 그들의 심리를 완벽히 자극합니다.

MZ세대 소비 특징 키덜트 문화와의 연결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귀여운 피규어와 장난감이 주는 일상 속 위로
자기표현 욕구 나만의 취향이 담긴 수집품 전시, SNS 인증
레트로 감성 유년기 추억이 담긴 캐릭터 제품 선호
FOMO(놓칠까 봐 두려움) 한정판 랜덤박스 구매 열풍, 리셀 시장 활성화
가성비보다 감성비 비싸도 '힐링'이 된다면 기꺼이 지갑 연다

 

'소유'보다는 '정체성'을 사는 소비

'소유'보다는 '정체성'을 사는 소비
심형탁 - 도라에몽

 

라부부 피규어나 베어브릭 인형, 포켓몬 카드 등 키덜트 상품은 단순한 물건을 넘어 ‘내가 누구인지’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기능합니다. 다시 말해, '그걸 가지고 있는 나'를 통해 자신을 드러내는 시대입니다.

이 소비는 명품 구매와 매우 유사합니다. 단지 명품은 가격과 브랜드가 정체성의 상징이라면, 키덜트 상품은 ‘희소성, 감성, 취향’이 그 역할을 합니다.

 

📌 MZ세대의 자기표현 소비 예시

  • 라부부 히든 에디션 인증샷 → SNS ‘선도 소비자’ 표현
  • 이케아 + 베어브릭 협업 인형 컬렉션
  • 레고로 만든 나만의 미니룸 전시
  • 스누피 빈티지 문구 모으기

 

 

 

‘힐링’과 ‘통제감’의 심리도 작용

‘힐링’과 ‘통제감’의 심리도 작용
리사 - 라부부

 

불확실한 시대, 라부부 같은 귀여운 캐릭터는 위안을 줍니다. 특히 MZ세대는 경기침체, 부동산 불안정, 고용 불안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이를 해소할 개인적 감성공간을 키덜트 상품으로 채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랜덤박스는 무질서한 현실 속에서 나만의 작은 세계를 ‘수집’이라는 방식으로 통제하고자 하는 심리를 자극합니다.

 

 

 

리셀 시장은 '놀이'에서 '자산'으로

키덜트 소비는 단순한 '지출'이 아닙니다. 이제는 재판매(리셀)을 통한 수익 구조까지 형성되고 있습니다. 팝마트, 크림(KREAM), 번개장터 등에서는 희귀 키덜트 제품이 수백만 원에 거래되며, 투자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키덜트 소비 = 자기표현 + 정서적 안정 + 잠재적 투자’라는 공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30배 웃돈에 거래된다고?! 라부부 인기이유는?

 

30배 웃돈에 거래된다고?! 라부부 인기 이유는 / 라부부리셀,라부부키링가격

이건 사야 돼! 💥 귀여운 인형 하나 사려고 사람들이 새벽부터 줄을 서고, 매장 앞에서 몸싸움까지 벌어...

blog.naver.com

 

 

MZ세대에게 키덜트는 단순한 동심 회귀가 아닙니다. 이것은 현대 사회 속에서 감성과 정체성, 그리고 미래 가치까지 아우르는 복합적 문화현상입니다.

 

 

 

 

👉 라부부 인형의 고가 거래 현상, 왜 우리는 이토록 '라부부'에 열광할까?

👉 라부부부터 퍼글러, 몬치치, 크라이베이비, 헬로우 키티까지 — 요즘 MZ세대가 사랑하는 키덜트 캐릭터들